Depin 노드 세일 투자 전 알아두면 좋은 것들

Datagram 사례를 중심으로 노드 세일에 대한 사례를 확인해 봅시다

Depin 노드 세일 투자 전 알아두면 좋은 것들

Datagram 사례를 중심으로 노드 세일에 대한 사례를 확인해 봅시다

Depin 노드 세일 투자 전 알아두면 좋은 것들

Datagram 사례를 중심으로 노드 세일에 대한 사례를 확인해 봅시다

작성일

Jul 14, 2025

8월 10일부터 시작된 Datagram Network의 노드 세일 소식을 접하며, DePIN 프로젝트 투자 시 고려해볼 만한 사항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Datagram의 대표인 Jason "Bitbender" Brink가 과거 Gala Games의 Blockchain President였던 만큼, 비슷한 구조의 프로젝트였던 Gala Games 사례를 통해 어떤 점들을 살펴봐야 할지 분석해보겠습니다.

Gala Games 사례 분석: 참고할 만한 교훈들

당시 상황 정리

2021-2022년 NFT와 메타버스 붐 시기, Gala Games는 주목받는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이었습니다. Zynga 공동창립자 Eric Schiermeyer가 참여한 프로젝트로 상당한 관심을 모았죠.

Gala Node(Founders Node) 판매 구조의 특징들

가격 구조

  • 초기 $2,000에서 시작해 단계적으로 상승

  • 최종적으로 $71,000(약 9,500만원)까지 오른 노드들이 실제 판매됨

  • 100개씩 판매될 때마다 가격이 상승하는 티어제 구조

토큰 분배

  • 전체 토큰의 50%를 노드 운영자에게 할당

  • 나머지를 팀과 생태계 발전에 사용

사업 확장

  • 게임에서 시작해 Gala Music, Gala Film으로 영역 확대

  • 대규모 오프라인 이벤트(갈라버스) 개최 등 적극적인 마케팅

현재 상황과 시사점

직면한 문제들

  • 2023년 공동창립자들 간의 법정 분쟁 ($130M 규모)

  • Eric Schiermeyer vs Wright Thurston 소송전

  • 일부는 회사 자금으로 전용기 구매 등의 이슈 제기

투자자들에게 미친 영향

  • 초기 참여자들은 어느정도 수익을 얻었을 가능성

  • 하지만 후반에 고가로 참여한 투자자들은 상당한 손실

  • 게임 관련 NFT 가격 하락과 프로젝트 진행 지연

Datagram 프로젝트 현황 분석

프로젝트 개요

  • AI 기반 Hyper-Fabric Network 표방

  • 실시간 통신 인프라 구축 목표

  • 200개 기업, 120만 사용자 보유 주장

노드 세일 구조

  • 8월 10일: Preferred Whitelist

  • 8월 11일: Pre-sale Whitelist

  • 8월 12일: Public Sale

  • 총 25,000개 노드 한정 판매

  • 50%를 노드 운영자에게 토큰 할당 예정

주목할 만한 투자 배경

  • Avalanche Fund, Animoca Brands 등 참여

  • $4M 프리시드 펀딩 완료

  • Avalanche 기반 자체 L1 체인 구축 계획

DePIN 프로젝트 투자 시 고려사항

기술적 검토 포인트

실제 구현 현황 확인

  • 약속하는 기술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 데모나 테스트넷에서 성능 검증 가능한지

  •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 대비 실질적 장점이 있는지

토큰노믹스 투명성

  • 정확한 토큰 분배 비율과 일정

  • 팀 토큰의 락업 기간과 베스팅 일정

  • 노드 운영자 보상 메커니즘의 지속가능성

팀과 거버넌스 분석

과거 이력 검토

  • 팀원들의 이전 프로젝트 성과

  • 약속한 것들을 실제로 이행했는지

  • 커뮤니티와의 소통 방식과 투명성

리스크 관리 체계

  • 의사결정 구조의 견고함

  • 갈등 상황에서의 해결 메커니즘

  • 규제 리스크에 대한 대응 계획

시장 환경 고려

경쟁 환경 분석

  • 기존 AWS, Google Cloud 등과의 차별점

  • 다른 DePIN 프로젝트들 대비 우위

  • 실제 기업 고객 확보 가능성

타이밍과 시장 수용성

  • 현재 DePIN 시장의 성숙도

  • 실제 수요자들의 니즈와 매칭 여부

  • 규제 환경의 변화 가능성

투자 판단을 위한 체크리스트

참여 전 확인사항

  1. 팀의 투명성

  2. 기술의 실현가능성

  3. 토큰경제학의 합리성

  4. 본인의 리스크 관리

⚠️ 주의 신호들

  • 과도하게 화려한 마케팅에 비해 기술 설명이 모호한 경우

  • 팀의 과거 이력에서 반복되는 문제 패턴

  • 너무 좋은 조건의 약속 (고수익, 무위험 등)

  • 커뮤니티 질문에 대한 회피적 답변

개인적 관점과 결론

DePIN은 분명히 미래 인터넷 인프라의 중요한 방향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프로젝트가 실제로 성공할지는 아직 불확실한 상황이죠.

Datagram의 경우, 팀의 과거 경험과 투자자 라인업은 긍정적 요소입니다. 반면 Gala Games에서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할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패에서 배운 교훈일 수도 있고, 반복될 패턴일 수도 있으니까요.

개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접근을 추천합니다:

  1. 소액으로 시작: 전체 포트폴리오의 작은 비중으로 참여 고려

  2. 지속적 모니터링: 메인넷 런칭 이후 실제 성과 관찰

  3. 다각도 검증: 여러 정보원을 통한 팩트체크

  4. 감정적 판단 지양: FOMO보다는 냉정한 분석 기반 결정

DePIN 프로젝트들이 약속하는 미래는 매력적이지만, 그 길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 같습니다. 현명한 투자자라면 기회와 위험을 균형있게 고려해서 자신만의 판단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무엇보다 투자는 본인 책임이라는 점, 그리고 잃어도 괜찮은 금액 내에서만 참여하시기를 당부드립니다.

이 글은 개인적인 분석과 의견을 담고 있으며, 투자 권유나 조언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 결정은 충분한 개인 조사(DYOR)를 바탕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이야기

© 2025 AirdropTrend. All rights reserved.

© 2025 AirdropTrend. All rights reserved.

© 2025 AirdropTrend. All rights reserved.